본문 바로가기
프리랜서 & 자영업 절세 가이드

종합소득세 신고 시 '청약저축' vs '주택청약종합저축', 어떤 항목을 선택해야 할까?

by positive7 2025. 5. 8.
반응형

청약저축 관련 사진

퇴사 후 첫 5월, 처음으로 직접 종합소득세(일명 5월 연말정산)를 신고하게 되셨나요?
혹시 작년에 주택청약 관련 저축을 했다면,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는 좋은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하지만 신고 화면에서 비슷한 항목이 두 개 보입니다.
바로 ‘청약저축’‘주택청약종합저축’. 둘 다 비슷하게 들리지만,

선택을 잘못하면 소득공제를 못 받거나 불이익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퇴사자 기준으로 어떤 항목을 선택해야 하는지 정확히 정리해 드릴게요.


🏡 1. 내가 가입한 상품은 무엇일까?

우선, 아래 방법 중 하나로 가입 상품명을 먼저 확인하세요.

  • 국세청 홈택스 → 연말정산 간소화 → 금융기관 자료 확인
  • 청약통장 가입한 은행 앱 또는 홈페이지 확인

✅ 두 가지 유형 정리

상품명 출시 시기 현재 가입 가능 여부 비고
청약저축 2015년 이전 ❌ 신규가입 불가 구형 상품
주택청약종합저축 2009년 이후 ✅ 현재 주류 상품 대부분 여기에 해당

💡 대부분 사람들은 ‘주택청약종합저축’에 해당합니다. 2009년 이후 가입자라면 거의 100% 이 항목!


📌 2. 종합소득세 신고 시 어떤 항목을 선택해야 할까?

홈택스 항목명 선택 기준
청약저축 구형 ‘청약저축’ 상품 가입자
주택청약종합저축 현재 상품 가입자 (2009년 이후 개설한 대부분 계좌)

‘주택청약종합저축’ 가입자인데 '청약저축' 항목을 선택하면, 공제가 반영되지 않거나 오류 메시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정확한 항목 선택이 정말 중요합니다.


💰 3. 소득공제 요건과 공제 금액은?

아래 조건을 모두 만족해야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어요.

  • 무주택 세대주
  • 종합소득금액 6천만 원 이하 (또는 총 급여 7천만 원 이하)
  • 해당 청약통장에 납입한 금액의 40% 공제
  • 연 최대 240,000원까지 공제

🙋‍♀️ 예시 상황

📍 A씨는 작년 9월에 퇴사하고, 직장 재취업 없이 종합소득세를 처음 신고합니다.
2017년에 국민은행에서 주택청약종합저축을 가입했고, 매월 10만 원씩 자동이체했습니다.

✅ 이 경우 홈택스에서 소득공제 항목 선택 시 → ‘주택청약종합저축’을 선택하면 됩니다.

🔍 자주 하는 실수

  • 이름이 헷갈려서 ‘청약저축’을 잘못 선택 → 공제 누락
  • 조건이 안 맞는 경우 → 예: 무주택 세대주가 아님
  • 자료가 간소화에 안 나올 때 → 은행에 직접 요청하거나 ‘기타자료 등록’ 기능 활용

📝 정리

대부분 사람에게 해당 주택청약종합저축
특별히 예전 상품인 경우만 🔁 청약저축
조건 무주택 세대주, 종소 6천만 원 이하
공제액 납입액의 40%, 연 최대 24만 원

📣 마무리 팁

  • 홈택스 신고 중 헷갈리면 가입 은행 또는 간소화 내역을 먼저 확인하세요.
  • 조건만 맞는다면 꼭 넣어야 하는 소득공제 항목입니다!
  • 퇴사자는 놓치기 쉬운 항목이니 반드시 체크해 두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