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 정책자금 대출정보

분양권 거래 필수 지식 (양도세, 취득세 핵심 정리)

by positive7 2025. 3. 16.
반응형

분양권 거래 관련 사진

 

분양권을 거래할 때 반드시 알아야 할 것이 바로 세금입니다. 특히 양도세(양도소득세)취득세는 보유 기간과 주택 수에 따라 크게 달라지므로 신중한 거래 전략이 필요합니다. 최근 몇 년 동안 정부의 부동산 규제 정책이 변화하면서, 분양권에 대한 세금 부담도 커졌습니다. 본 글에서는 분양권을 사고팔 때 부과되는 세금의 개념, 계산법, 절세 방법까지 상세히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1. 분양권 양도세의 기본 개념과 계산법

1-1. 분양권 양도세란?

양도세(양도소득세)는 분양권을 매도하여 차익(양도 차익)을 얻었을 때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과거에는 분양권 거래에 대한 세금이 주택보다 낮았지만, 최근 법 개정으로 인해 분양권도 일반 주택과 동일한 세율이 적용됩니다.

1-2. 분양권 양도세율 (2024년 기준)

보유 기간 양도세율 (2024년 기준)
1년 미만 70%
1~2년 미만 60%
2년 이상 기본세율 (6~45%) 적용

✅ 핵심 포인트:

  • 1년 미만 보유 시 70% 세율이 적용되므로 단기 매매 시 세금 부담이 큽니다.
  • 2년 이상 보유하면 기본세율(6~45%)이 적용되어 세금 부담이 크게 줄어듭니다.

1-3. 분양권 양도세 계산법 예시

예시 1: 1년 미만 보유 후 매도

  • 분양권 매입가: 5억 원
  • 분양권 매도가: 6억 원
  • 양도 차익: 1억 원
  • 양도세율: 70%
  • 세금: 7,000만 원

예시 2: 2년 이상 보유 후 매도 (기본세율 적용, 35% 가정)

  • 분양권 매입가: 5억 원
  • 분양권 매도가: 6억 원
  • 양도 차익: 1억 원
  • 양도세율: 35%
  • 세금: 3,500만 원

 

2. 분양권 취득세, 얼마나 내야 할까?

2-1. 분양권 취득세란?

취득세는 분양권을 매수할 때 발생하는 세금으로, 주택 수와 분양가에 따라 다르게 부과됩니다.

2-2. 취득세율 (2024년 기준)

주택 수 취득세율
1주택자 1.0~3.5% (분양가에 따라 차등)
2주택자 8%
3주택 이상 보유 12%

2-3. 취득세 계산 예시

예시 1: 1주택자가 5억 원 분양권 매수

  • 취득세율: 3.5%
  • 세금: 1,750만 원

예시 2: 2주택자가 5억 원 분양권 매수

  • 취득세율: 8%
  • 세금: 4,000만 원

 

3. 분양권 거래 시 절세 전략

3-1. 장기 보유 전략

2년 이상 보유하면 양도세 기본세율(6~45%) 적용됩니다. 단기 매도 시 최대 70% 세율 부담이 크므로 장기 보유를 고려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3-2. 1주택 비과세 요건 활용

기존 주택을 매도한 후 일정 기간 내에 분양권을 매입하면 1주택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단, 1주택 비과세 요건을 충족하는지 국세청 기준 확인 필수입니다.

3-3. 가족 간 증여 활용

가족에게 분양권을 증여하면 양도세보다 낮은 증여세율 적용 가능합니다. 단, 증여 후 5년 이내 매도 시 양도세 발생 가능하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3-4. 취득세 절감 전략

  • 1주택자로 유지하면 취득세율이 1~3.5%로 낮아집니다.
  • 다주택자는 주택 수를 조정하여 절세 효과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결론

분양권 거래 시 양도세와 취득세 부담이 크므로 신중한 거래 전략이 필요합니다. 특히 보유 기간에 따라 양도세가 최대 70%까지 차이가 나며, 다주택자의 취득세율이 매우 높기 때문에 이를 고려한 계획이 필수적입니다.

반응형